[조정근 변호사] 이혼시 재산분할않기로 합의했어도 국민연금은 분할 신청 가능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조정근 변호사입니다.
이혼 및 재산분할에 관한 조정 성립 당시 조정조서에 향후 이혼과 관련한 재산분할 등을 청구하지 않는다는 취지의 조항(이른바 '청산조항')이 포함되어 있었다고 하더라도 이 청산조항만으로는 배우자 일방이 자신의 연금수급권을 포기하였다고 볼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이 나와서 소개해드립니다(대법원 2019. 6. 13. 선고 2018두65088 판결 [연금분할비율별도결정거부처분취소])
국민연금법 제64조에 규정된 이혼배우자의 분할연금 수급권은 이혼한 배우자에게 전 배우자가 혼인 기간 중 취득한 노령연금 수급권에 대해서 연금 형성에 기여한 부분을 인정하여 청산·분배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가사노동 등으로 직업을 갖지 못하여 국민연금에 가입하지 못한 배우자에게도 상대방 배우자의 노령연금 수급권을 기초로 일정 수준의 노후 소득을 보장하려는 취지에서 마련된 것이다. 이는 민법상 재산분할청구권과는 구별되는 것으로 국민연금법에 따라 이혼배우자가 국민연금공단으로부터 직접 수령할 수 있는 이혼배우자의 고유한 권리이다.
원칙적으로 일정한 수급요건을 갖춘 이혼배우자는 국민연금법 제64조에 따라 상대방 배우자의 국민연금 가입기간 중 혼인 기간에 해당하는 노령연금액을 균등하게 나눈 금액을 분할연금으로 받을 수 있다. 다만 국민연금법 제64조의2 제1항(이하 ‘특례조항’이라 한다)에 따라 협의상 또는 재판상 이혼에 따른 재산분할절차에서 이혼당사자의 협의나 법원의 심판으로 연금의 분할 비율에 관하여 달리 정할 수 있다. 이는 당사자의 의사를 존중하고 개별 사안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구체적 타당성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국민연금법상 이혼배우자의 분할연금 수급권의 법적 성격과 특례조항의 내용과 입법 취지 등을 종합하면, 특례조항에서 정한 ‘연금의 분할에 관하여 별도로 결정된 경우’라고 보기 위해서는, 협의상 또는 재판상 이혼에 따른 재산분할절차에서 이혼당사자 사이에 연금의 분할 비율 등을 달리 정하기로 하는 명시적인 합의가 있었거나 법원이 이를 달리 결정하였음이 분명히 드러나야 한다. 이와 달리 이혼당사자 사이의 협의서나 조정조서 등을 포함한 재판서에 연금의 분할 비율 등이 명시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재산분할절차에서 이혼배우자가 자신의 분할연금 수급권을 포기하거나 자신에게 불리한 분할 비율 설정에 동의하는 합의가 있었다거나 그러한 내용의 법원 심판이 있었다고 쉽게 단정해서는 안 된다
관련링크
- 이전글[조정근 변호사] 회사 재촉에 미사용연차휴가 계획서 제출했더라도 실제 출근해 일했다면 연차수당 지급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례 24.01.25
- 다음글[조정근 변호사] 60년간 친아들처럼 키웠다면 양친자관계 성립한다는 판례 24.01.2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