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정근 변호사] 부당해고소송 중 정년되어도 소의 이익있다는 대법원전합판결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조정근 변호사입니다.
부당해고를 다투는 소송 도중 정년에 달하더라도 부당해고소송의 소의 이익이 있다는 대법원 전원합의체판결이 나왔습니다(대법원 2019두52386 부당해고구제 재심판정 취소소송).
근로자가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해 해고의 효력을 다투던 중 정년에 이르거나 근로계약기간이 만료하는 등의 사유로 원직에 복직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 경우에도 구제신청을 기각한 중앙노동위원회의 재심판정을 다툴 소의 이익이 있다는 취지입니다. 이는 원직에 복직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 경우에는 소의 이익이 없다고 본 기존 대법원 판례를 변경한 것입니다.
재판부는 "부당해고 구제명령제도는 부당한 해고를 당한 근로자에 대한 원상회복을 위해 도입된 제도로, 부당해고라는 사실을 확인해 해고기간 중의 임금 상당액을 지급받도록 하는 것 역시 부당해고 구제명령제도의 목적에 포함된다"고 하면서 "근로기준법 제30조 3항의 금품지급명령은 2007년 1월 개정을 통해 원직복직 대신 다른 구제수단으로 도입됐고 그 취지에 비춰볼 때 원직 복직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소의 이익을 인정해 근로자가 구제받을 기회를 주는 것이 타당하다"며 "원직 복직은 장래에 관한 것이고 금품지급은 과거에 대한 것으로 양자는 서로 목적과 효과가 다르므로 '원직복직이 가능한 근로자'에 한정해 임금 상당액을 주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고 판시했습니다.

관련링크
- 이전글[조정근 변호사] 검사의 불기소처분에 고소인이 불복하는 방법 24.01.25
- 다음글[조정근 변호사] 성폭력 피해자의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 기산점에 대한 판례 24.01.2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