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로고

로고

로그인 회원가입
  • 소식/자료
  • 라움칼럼
  • 소식/자료

    라움칼럼

    [조정근 변호사] 검사의 불기소처분에 고소인이 불복하는 방법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라움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1,394회   작성일Date 24-01-25 11:20

    본문



    안녕하세요  변호사님


    경찰서에 사기죄로 지인 A씨를 형사고소하고 고소인조사도 받았습니다. 수사가 잘 진행되고 있는 줄 알았는데  얼마전 검찰청으로부터 고소한 사건에 대해 증거불충분으로 지인A에 대해 불기소처분을했다는 통지를 받았습니다. 너무 억울하고 제대로 수사를 한것인지 의문입니다 불복을 하고싶은데 언제까지 어디에 할 수 있나요




    A. 안녕하세요 조정근 변호사입니다.


    고소인은 불기소처분을 했다는 통지를 받은 때로부터 30일 이내에 그 검사가 속한 지방검찰청 또는 지청을 거쳐 서면으로 관할 고등검찰청 검사장에게 항고할 수 있습니다. 



    검찰청법 제10조(항고 및 재항고)


    ① 검사의 불기소처분에 불복하는 고소인이나 고발인은 그 검사가 속한 지방검찰청 또는 지청을 거쳐 서면으로 관할 고등검찰청 검사장에게 항고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지방검찰청 또는 지청의 검사는 항고가 이유 있다고 인정하면 그 처분을 경정(更正)하여야 한다.

    ② 고등검찰청 검사장은 제1항의 항고가 이유 있다고 인정하면 소속 검사로 하여금 지방검찰청 또는 지청 검사의 불기소처분을 직접 경정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고등검찰청 검사는 지방검찰청 또는 지청의 검사로서 직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본다.

    ③ 제1항에 따라 항고를 한 자[「형사소송법」 제260조에 따라 재정신청(裁定申請)을 할 수 있는 자는 제외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는 그 항고를 기각하는 처분에 불복하거나 항고를 한 날부터 항고에 대한 처분이 이루어지지 아니하고 3개월이 지났을 때에는 그 검사가 속한 고등검찰청을 거쳐 서면으로 검찰총장에게 재항고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고등검찰청의 검사는 재항고가 이유 있다고 인정하면 그 처분을 경정하여야 한다.

    한다.

    ④ 제1항의항고는 「형사소송법」 제258조제1항에 따른 통지를 받은 날부터 30일 이내에 하여야 한다.

    ⑤ 제3항의 재항고는 항고기각 결정을 통지받은 날 또는 항고 후 항고에 대한 처분이 이루어지지 아니하고 3개월이 지난 날부터 30일 이내에 하여야 한다.

    ⑥ 제4항과 제5항의 경우 항고 또는 재항고를 한 자가 자신에게 책임이 없는 사유로 정하여진 기간 이내에 항고 또는 재항고를 하지 못한 것을 소명하면 그 항고 또는 재항고 기간은 그 사유가 해소된 때부터 기산한다.

    ⑦ 제4항 및 제5항의 기간이 지난 후 접수된 항고 또는 재항고는 기각하여야 한다. 다만, 중요한 증거가 새로 발견된 경우 고소인이나 고발인이 그 사유를 소명하였을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전문개정 2009. 11. 2.]









    ec245bef1012344a726b05934e720aa8_1706149177_3592.jpg
     

    ec245bef1012344a726b05934e720aa8_1706149177_3712.png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