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영 변호사] '사실상 배우자' 이외에 법률상 배우자가 따로 있는 경우라면, '사실상 배우자와의 관계'가 군인연금법상 ‘사…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법무법인 라움 행정분쟁예방센터(행정소송팀) 정관영 변호사실입니다.
오늘은 가족법과 행정법, 사회보험법이 연관된 판례를 보겠습니다.
군인연금법 수급자에 관한 문제입니다.
오늘의 질의
만약 '사실상 배우자' 이외에 법률상 배우자가 따로 있는 경우라면, 그 사실상 배우자와의 관계는 군인연금법상의 ‘사실혼’에 해당해서 연금을 받을 수 있을까요?
답변
원칙적으로 사실상 배우자와의 관계는
군인연금법상의 ‘사실혼’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는 것이 판례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중혼적 상태에 있는 사실상 배우자는 군인연금을 받을 수 없겠지요.
다만, 법률상 배우자와 사이에 이혼의사의 합치가 있었는데도 형식상의 절차미비 등으로 법률혼이 남아 있는 등의 예외적인 경우는 제외합니다.
https://blog.naver.com/kindghost/222499369487
<이기는 변호사> 1심 패소한 정보공개 사건을 맡아, 2심에서 승소한 행정소송 사례
안녕하세요. 법무법인 라움 정관영 변호사실 [행정분쟁예방센터] 입니다. 정관영 변호사는 최근 정부/공공...
blog.naver.com
판례 소개
판례 전문 소개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퇴역연금을 받아오던 망 소외 1이 1984년 무렵부터 원고와 부부관계를 유지하면서 딸 둘을 출산하였으며,
법률상 배우자인 소외 2와는 그 무렵부터 동거를 하지 않은 사실,
소외 1은 소외 2의 거부 때문에 소외 2와 이혼을 하지 않은 채 소외 2에게 생활비를 계속 지급해 왔으며, 마지막 주소지인 서울 도봉구 번동 소재 건물을 소외 2에게 제공하여 그곳에 살게 하면서 건물 내의 점포를 임대하여 들어오는 수입을 생활비로 사용하도록 한 사실,
그러다가 소외 1은 2002. 8.경 소외 2와 재산관계에 관한 합의를 하고 협의이혼하여 2002. 8. 29. 이혼신고를 마쳤고, 그 후 원고와 2003. 5. 17. 혼인신고를 한 사실,
그러나 소외 1은 1978. 4. 10.부터 소외 2와 이혼신고를 마치기 직전인 2002. 12. 25.까지 사이에 소외 2와 줄곧 주민등록을 같이 하고 있었던 사실 등을 인정한 다음,
위와 같은 사실관계에 의하면 위 이혼신고 전까지는 소외 1과 소외 2 사이에 이혼의사의 합치가 이루어진 적이 있었다고 볼 수 없고 ,
그들 사이의 혼인관계가 ‘법률상 형식적으로만 존재하고 사실상 해소된 상태’에 있었다고 볼 수 없으며,
원고와 소외 1 사이의 혼인관계는 소외 1이 소외 2와 이혼신고를 할 때까지는 중혼적 사실혼 관계에 지나지 않아 원고는 군인연금법상 보호받는 사실혼 관계에 있던 배우자에 해당하지 않고,
이는 소외 1이 사망하기 얼마 전에 원고가 그의 법률상·사실상 유일한 배우자가 되었다는 사정이 있다 하더라도 마찬가지라고 판단하였다.
위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인정 및 판단은 수긍이 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군인연금법 제3조 제1항 제4호의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재판장 대법관 전수안 대법관 고현철 주심 대법관 양승태 대법관 김지형
대법원 2007. 2. 22. 선고 2006두18584 판결 [유족연금부지급처분취소] [공2007.4.1.(271),511]
관련링크
- 이전글[정관영 변호사] 사업장 마련을 못한 부동산의 보증금 반환채권의 소멸시효는 5년일까요? 10년일까요? 24.01.24
- 다음글[정관영 변호사] 인사팀 담당자가 A에 대한 징계절차 회부 안내문을 회사 게시판에 게시한 경우, 명예훼손으로 처벌될 수 있나요? 24.01.2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