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로고

로고

로그인 회원가입
  • 소식/자료
  • 라움칼럼
  • 소식/자료

    라움칼럼

    [정관영 변호사] '법원의 요청으로 계좌가 압류되었다.'는 내용으로 문자메세지를 받은 경우, 판결이 있던 사실을 알았다고 볼…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라움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1,306회   작성일Date 24-01-23 15:26

    본문



    안녕하세요. 


    법무법인 라움 정관영 변호사실입니다. 


    오늘은 추완항소가 적법하다고 인정된 대법원 최근 판례를 보겠습니다. 




    오늘의 질의

     ‘법원의 요청으로 계좌가 압류되었다.’는 내용만 있을 뿐(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의 사건번호와 채권자만 기재되어 있었다), 이 사건 제1심판결에 관한 내용이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은 문자메시지를 받은 경우, 이 사건 제1심판결이 있었던 사실을 알았다고 볼 수 있을까요?



    대법원의 결론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대법원 판례에 따르면, 아닙니다.


    알았다고 보기 어려워서, 추완항소 기간이 기산되지 않습니다. 


    즉,  ‘법원의 요청으로 계좌가 압류되었다.’는 내용만 있을 뿐(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의 사건번호와 채권자만 기재되어 있었다), 이 사건 제1심판결에 관한 내용이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은 문자메시지를 받은 경우, 이 사건 제1심판결이 있었던 사실을 알았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대법원은 이 사건 추완항소가 적법하다고 보았습니다.


    피고가 이 사건 제1심판결정본을 영수한 날로부터 2주일 내에 제기되어 적법하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추완항소는 제1심판결이 있은지 2달이 지나서 했는데, 추완항소가 적법하다고 본 것입니다. 





    8d2278ca9382879e67f279e231dc4c94_1705991083_8888.jpg



     


    사건의 구체적 내용

    이 사건의 내용은 이렇습니다. 


    제1심법원이 소장부본과 판결정본 등을 공시송달의 방법으로 피고 갑에게 송달하였습니다.


    그 후 원고 을 주식회사가 제1심판결에 기하여 피고 갑의 예금채권 등을 압류ㆍ추심하여, 


    갑이 제3채무자인 병 신용협동조합으로부터 ‘법원의 요청으로 계좌가 압류되었습니다.’는 내용과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의 사건번호와 채권자가 기재된 문자메시지를 받았습니다. 


    그로부터 2달이 지나 갑이 제1심판결정본을 영수한 후 추완항소를 제기한 사안이었습니다. 



    판례의 내용

    소장부본과 판결정본 등이 공시송달의 방법에 의하여 송달되었다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피고는 과실 없이 그 판결의 송달을 알지 못한 것이고, 이러한 경우 피고는 그 책임을 질 수 없는 사유로 인하여 불변기간을 준수할 수 없었던 때에 해당하여 그 사유가 없어진 후 2주일 내에 추완항소를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유가 없어진 후’라고 함은 당사자나 소송대리인이 단순히 판결이 있었던 사실을 안 때가 아니고 나아가 그 판결이 공시송달의 방법으로 송달된 사실을 안 때를 가리키는 것이다. 그리고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통상의 경우에는 당사자나 소송대리인이 그 사건 기록을 열람하거나 또는 새로이 판결정본을 영수한 때에 비로소 그 판결이 공시송달의 방법으로 송달된 사실을 알게 되었다고 보아야 한다(대법원 2011. 5. 26. 선고 2011다19430 판결 등 참조).



    다만 피고가 당해 판결이 있었던 사실을 알았고 사회통념상 그 경위에 대하여 당연히 알아볼 만한 특별한 사정이 있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 경위에 대하여 알아보는 데 통상 소요되는 시간이 경과한 때에 그 판결이 공시송달의 방법으로 송달된 사실을 알게 된 것으로 추인하여 그 책임질 수 없는 사유가 소멸하였다고 봄이 상당하다고 할 것이지만(원심이 원용한 위 대법원 1999. 2. 9. 선고 98다43533 판결 참조), 이 경우 ‘당해 판결이 있었던 사실을 알게 된 것’과 더불어 ‘판결의 경위에 대하여 알아볼 만한 특별한 사정’이 인정되어야 함은 판결의 취지상 분명하다.



    따라서 당사자가 다른 소송의 재판절차에서 송달받은 준비서면 등에 당해 사건의 제1심 판결문과 확정증명원 등이 첨부된 경우에는 위의 특별한 사정을 인정할 수 있고(대법원 2018. 9. 13. 선고 2018다25670 판결 참조), 


    제1심판결이 있었던 사실을 알게 된 후 그 대처방안에 관하여 변호사와 상담을 하거나 추완항소 제기에 필요한 해외거주증명서 등을 발급받은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대법원 2001. 1. 30. 선고 2000다21222 판결 참조). 



    그러나 유체동산 압류집행을 당하였다는 등의 사정만으로는 위의 특별한 사정을 인정하기 어렵고(대법원 2019. 9. 9. 선고 2019다217179 판결 참조), 나아가 채권추심회사 직원과의 통화 과정에서 사건번호 등을 특정하지 않고 단지 “판결문에 기하여 채권추심을 할 것이다.”라는 이야기를 들은 경우에도 당해 제1심판결이 있었던 사실을 알았다거나 위의 특별한 사정이 인정된다고 볼 수 없다(대법원 2019. 12. 12. 선고 2019다17836 판결 참조).



    앞서 본 이 사건의 경위를 위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피고가 소외 장안신용협동조합으로부터 ‘법원의 요청으로 계좌가 압류되었다.’는 내용만 있을 뿐(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의 사건번호와 채권자만 기재되어 있었다) 이 사건 제1심판결에 관한 내용이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은 문자메시지를 받았다는 사정만으로는 이 사건 제1심판결이 있었던 사실을 알았다거나, 사회통념상 그 경위를 알아볼 만한 특별한 사정이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이 사건 추완항소는 피고가 이 사건 제1심판결정본을 영수한 날로부터 2주일 내에 제기되어 적법하다고 보여진다.


    그럼에도 원심은 판시와 같은 이유만으로 이 사건 추완항소가 기간을 경과하여 제기되어 부적법하다고 판단하였으니, 이러한 원심판결에는 앞서 본 대법원의 판례에 상반되는 판단을 한 잘못이 있다.



    (출처 : 대법원 2021. 3. 25. 선고 2020다46601 판결 [물품대금] > 종합법률정보 판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