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영 변호사] 예전 토지 소유자가 오염물질을 유출해서 오염된 토지를 거래한 경우, 현재 소유자는 그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
페이지 정보

본문
예전 토지 소유자가 토양오염물질을 유출해서 오염토양이 포함된 토지를 거래에 제공한 경우, 현재 소유자는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을까요?
네. 할 수 있습니다.
아래 대법원 판례를 보겠습니다.
"헌법 제35조 제1항, 구 환경정책기본법, 구 토양환경보전법 및 구 폐기물관리법의 취지와 아울러 토양오염원인자의 피해배상의무 및 오염토양 정화의무, 폐기물 처리의무 등에 관한 관련 규정들과 법리에 비추어 보면,
토지의 소유자라 하더라도 토양오염물질을 토양에 누출·유출하거나 투기·방치함으로써 토양오염을 유발하였음에도 오염토양을 정화하지 않은 상태에서 오염토양이 포함된 토지를 거래에 제공함으로써 유통되게 하거나,
토지에 폐기물을 불법으로 매립하였음에도 처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토지를 거래에 제공하는 등으로 유통되게 하였다면,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이는 거래의 상대방 및 토지를 전전 취득한 현재의 토지 소유자에 대한 위법행위로서 불법행위가 성립할 수 있다.
그리고 토지를 매수한 현재의 토지 소유자가 오염토양 또는 폐기물이 매립되어 있는 지하까지 토지를 개발·사용하게 된 경우 등과 같이
자신의 토지소유권을 완전하게 행사하기 위하여 오염토양 정화비용이나 폐기물 처리비용을 지출하였거나 지출해야만 하는 상황에 이르렀다거나 구 토양환경보전법에 의하여 관할 행정관청으로부터 조치명령 등을 받음에 따라 마찬가지의 상황에 이르렀다면
위법행위로 인하여 오염토양 정화비용 또는 폐기물 처리비용의 지출이라는 손해의 결과가 현실적으로 발생하였으므로,
토양오염을 유발하거나 폐기물을 매립한 종전 토지 소유자는 오염토양 정화비용 또는 폐기물 처리비용 상당의 손해에 대하여 불법행위자로서 손해배상책임을 진다."
대법원 전합 2016. 5.19 선고 2009다66549 판결 다수의견
관련링크
- 이전글[황소영 변호사] 상속포기, 한정승인 24.01.17
- 다음글[정관영 변호사] 정관영의 법률상담 임대차관계를 종료할 때 임차인이 월세를 내지 않았거나 불법행위를 해서 채무가 있는 경우 어떻게 임대인은 대응할 수 있을까요? 24.01.1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