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로고

로고

로그인 회원가입
  • 소식/자료
  • 라움칼럼
  • 소식/자료

    라움칼럼

    [황소영 변호사] 뱃속의 아이만 남기고 죽은 남편, 제 아이는 상속인이 될 수 없나요?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라움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1,380회   작성일Date 24-01-16 13:18

    본문



    < 뱃속의 아이만 남기고 죽은 남편, 


    제 아이는 상속인이 될 수 없나요? >


     



    763c4a74973391e7be581935dc2107a9_1705378398_3825.jpg
     



    현진(가명)은 1년 전, 남편 지상(가명)과 결혼하였습니다. 

    이후 현진은 임신을 하게 되고, 

    부부는 태어날 아이를 떠올리며 행복한 시간을 보내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임신한지 3개월만에 지상이 교통사고로 사망하고 말았습니다. 

    지상에게는 여러 보험이 들어있었고,

    약 10억의 사망보험금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지상의 부모는 이 사실을 알고는 

    현진에게 

    아이를 지우고 새로 결혼할 것

    을 요구합니다. 



    현진의 뱃속에 있는 아이가 

    지상의 아이가 아닐수도 있지 않느냐며 윽박지르기도 하였습니다. 

    그것을 현진이 받아들이지 않자 

    태아는 민법상 권리와 의무를 가지지 않는다며, 

    사망보험금은 본인들의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입니다.


    현진과 뱃속의 아이는 상속인이 될 수 없는 것일까요?




    우리 민법에서는 권리능력의 존속기간을 법으로 명시하고 있습니다. 


    제3조(권리능력의 존속기간) 


    사람은 생존한 동안 권리와 의무의 주체가 된다.


    법제처 - 민법 제3조


    이 때의 ‘생존하는 동안’ 이라는 것은 


    ‘출생’ 한 때로부터 ‘사망’에 이르기까지의 기간을 말합니다. 



    그렇다면 시부모님의 말씀대로 


    뱃속의 아이에게는 아무런 권리가 없고, 


    사망한 남편의 부모님과 현진만이 상속재산을 나눠야하는걸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분명히 태아는 출생 이전의 존재이므로 

    민법상 권리능력의 주체가 될 수는 없지만 ​

    상속, 유증, 인지, 손해배상 등에서는 태아의 권리능력을 

    예외적으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제1000조(상속의 순위) 


    ①상속에 있어서는 다음 순위로 상속인이 된다.


    1. 피상속인의 직계비속


    2. 피상속인의 직계존속


    3. 피상속인의 형제자매


    4. 피상속인의 4촌 이내의 방계혈족


    ②전항의 경우에 동순위의 상속인이 수인인 때에는 


    최근친을 선순위로 하고 동친등의 상속인이 수인인 때에는 


    공동상속인이 된다.


    ③태아는 상속순위에 관하여는 이미 출생한 것으로 본다.


    법제처 - 제 1000조 


    민법 제 1000조의 3항에 따라 

    태아를 상속에 관하여 이미 출생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태아도 상속인이 될 수 있는 것이지요! 




    현진이 낙태로 뱃속의 

    태아를 사망케하지 않는다면

    민법 1000조 1항의 상속순위에 의하여

    현진과 태어날 아이는 지상의 상속자가 되겠습니다.  만약 현진이 낙태를 선택한다면 오히려 이로인해 현진의 상속인으로서의 지위도 없어질 수 있습니다.. 



    제1004조(상속인의 결격사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한 자는 상속인이 되지 못한다.

    1. 고의로 직계존속, 피상속인, 그 배우자 또는 상속의 선순위나 

    동순위에 있는 자를 살해하거나 살해하려한 자

    2. 고의로 직계존속, 피상속인과 그 배우자에게 상해를 가하여 

    사망에 이르게 한 자

    3. 사기 또는 강박으로 피상속인의 상속에 관한 

    유언 또는 유언의 철회를 방해한 자

    4. 사기 또는 강박으로 피상속인의 상속에 관한 유언을 하게 한 자

    5. 피상속인의 상속에 관한 유언서를 위조ㆍ변조ㆍ파기 또는 은닉한 자


    법제처 - 민법 제 1004조



    시부모님의 말씀대로 낙태를 하게 된다면,

    고의로 직계존속을 살해하는 것이 되므로

    상속분을 받을 수 없게 되겠지요. 

     (실제 판례 참고)



    판결요지 



    가. 태아가 호주상속의 선순위 또는 재산상속의 선순위나 동순위에 있는 경우에 그를 낙태하면 구 민법(1990. 1. 13. 법률 제419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92조 제1호 및 제1004조 제1호 소정의 상속결격사유에 해당한다.


     


    나. 위 “가”항의 규정들 소정의 상속결격사유로서 ‘살해의 고의’ 이외에 ‘상속에 유리하다는 인식’을 필요로 하는지 여부에 관하여는, (1) 우선 같은 법 제992조 제1호 및 제1004조 제1호는 그 규정에 정한 자를 고의로 살해하면 상속결격자에 해당한다고만 규정하고 있을 뿐, 더 나아가 ‘상속에 유리하다는 인식’이 있어야 한다고까지는 규정하고 있지 아니하고, (2) 위 법은 “피상속인 또는 호주상속의 선순위자”(제992조 제1호)와 “피상속인 또는 재산상속의 선순위나 동순위에 있는 자”(제1004조 제1호) 이외에 “직계존속”도 피해자에 포함하고 있고, 위 “직계존속”은 가해자보다도 상속순위가 후순위일 경우가 있는바, 같은 법이 굳이 동인을 살해한 경우에도 그 가해자를 상속결격자에 해당한다고 규정한 이유는, 상속결격요건으로서 “살해의 고의” 이외에 ‘상속에 유리하다는 인식’을 요구하지 아니한다는 데에 있다고 해석할 수밖에 없으며, (3) 같은 법 제992조 제2호 및 이를 준용하는 제1004조 제2호는 “고의로 직계존속, 피상속인과 그 배우자에게 상해를 가하여 사망에 이르게 한 자”도 상속결격자로 규정하고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해의 고의’만 있으면 되고, 이 ‘고의’에 ‘상속에 유리하다는 인식’이 필요 없음은 당연하므로, 이 규정들의 취지에 비추어 보아도 그 각 제1호의 요건으로서 ‘살해의 고의’ 이외에 ‘상속에 유리하다는 인식’은 필요로 하지 아니한다고 할 것이다.


    법제처 - 92다2127의 판결문 中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