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정근 변호사] 합의로 차임 증액하는 경우에도 상가임대차보호법 제11조가 적용되는지 여부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법무법인 라움의 조정근 변호사입니다.
상가임대차에서 차임 증액과 관련하여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제11조에 따른 증액비율 제한 규정이 적용되는지 여부에 대한 법률상담 및 관련 소송 사건이 많습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개별 사건의 사실관계에 따라 적용여부를 판단하여야 하고 대표적인 대법원 판례를 소개해드립니다.
[임대차계약 종료 후 재계약을 하거나 임대차계약 종료 전 당사자의 합의로 차임 등을 증액하는 경우,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제11조가 적용되는지 여부] 에 관한 대법원 판례를 소개합니다.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제11조 제1항에서 “차임 또는 보증금이 임차건물에 관한 조세, 공과금, 그 밖의 부담의 증감이나 경제사정의 변동으로 인하여 상당하지 아니하게 된 경우에는 당사자는 장래의 차임 또는 보증금에 대하여 증감을 청구할 수 있다. 그러나 증액의 경우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른 비율을 초과하지 못한다.”고 규정하고, 제2항에서 “제1항에 따른 증액 청구는 임대차계약 또는 약정한 차임 등의 증액이 있은 후 1년 이내에는 하지 못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위 규정은 임대차계약의 존속 중 당사자 일방이 약정한 차임 등의 증감을 청구한 경우에 한하여 적용되고, 임대차계약이 종료한 후 재계약을 하거나 임대차계약 종료 전이라도 당사자의 합의로 차임 등을 증액하는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대법원 2014. 2. 13., 선고, 2013다80481, 판결]
국가법령정보센터

관련링크
- 이전글[조정근 변호사] 진입로 확보 위한 행정재산인 도로 토지사용 신청 거부 처분 취소 청구 사건 판례 소개 24.01.12
- 다음글[황소영 변호사] 재산분할 - 2년이 지난 후에 한 재산분할 청구에 대한 항변은 정말로 받아들여질 수 없나요? 24.01.1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