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례] 차임 증감청구권 관련 규정은 강행규정, 증액비율 초과 지급 차임은 부당이득 반환대상 - 부종식 변호사
페이지 정보

본문
상가임대차보호법 상 차임증감청구권과 관련하여 저희 법인에서 수행한 사건으로 최근 대법원 선고(대법원 2014.04.30. 선고 2013다35115 판결[보증금반환등])가 났는바, 이를 소개합니다.
여러 쟁점 중, 차임증감청구권과 관련된 쟁점에 관한 대법원 판결의 요지만 살펴보면,
1.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상 차임 증액에 관하여 일정한 비율(차임 또는 보증금의 9%)로 제한을 둔 규정은 강행규정이다.
-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은 상가건물 임대차에 관하여 민법에 대한 특례를 규정하여 국민 경제생활의 안정을 보장함을 목적으로 하면서(제1조), 차임이 임차건물에 관한 조세, 공과금, 그 밖의 부담의 증감이나 경제사정의 변동으로 인하여 상당하지 아니하게 된 경우에 당사자가 장래의 차임에 대하여 증감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하되 증액의 경우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른 비율을 초과하지 못하도록 제한하고 있고(제11조 제1항), 법의 규정에 위반된 약정으로서 임차인에게 불리한 것은 효력이 없다고 하여 강행규정임을 명시하고 있다(제15조).
2. 법이 규정한 증액비율을 초과하여 지급한 차임은 부당이득으로 임차인은 돌려받을 수 있다.
- 법의 입법 목적, 차임의 증감청구권에 관한 규정의 체계 및 취지 등에 비추어 보면, 법 제11조 제1항에 따른 증액비율을 초과하여 지급하기로 하는 차임에 관한 약정은 그 증액비율을 초과하는 범위 내에서 무효라고 할 것이고, 임차인은 그 초과 지급된 차임에 대하여 부당이득으로 반환을 구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갱신된 임대차의 차임에 관한 약정이 법 제11조 제1항에 따른 증액비율을 초과하는 범위 내에서 무효라고 보아 피고에 대하여 그 초과 부분에 해당하는 부당이득의 반환을 명하고, 위 증액비율을 초과한 차임의 지급이 불법원인급여에 해당한다는 피고의 주장을 배척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불법원인급여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3. 다만, 이러한 차임증감청구권 관련 규정은 임대차계약의 존속 중 당사자 일방이 약정한 차임 등의 증감을 청구한 경우에 한하여 적용된다.
- 임대차계약이 종료한 후 재계약을 하거나 임대차계약 종료 전이라도 당사자의 합의로 차임 등을 증액하는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대법원 2014. 2. 13. 선고 2013다80481 판결 참조).
- 기타 자세한 문의 -
법무법인 라움
서울 서초구 서초동 1573-14 웅진타워 16층(교대역 9번 출구)
Tel : 02. 3477. 7006 / Fax : 02. 3477. 0124
- 이전글[판례] 상가,오피스텔 복합건물에서 대규모점포관리자의 관리비징수 권한은 상가부분 까지만! - 부종식 변호사 19.08.07
- 다음글상가, 오피스텔 관리에 지자체 개입이 필요 - 부종식 변호사 19.08.0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