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로고

로고

로그인 회원가입
  • 소식/자료
  • 라움칼럼
  • 소식/자료

    라움칼럼

    집합건물법 상 관리단집회 소집을 위한 구분소유자 정족수 계산법 - 부종삭 변호사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법무법인 라움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18,991회   작성일Date 19-08-07 09:24

    본문

    최근 집합건물법상 관리단 집회 소집을 위한 구분소유자 정족수 계산과 관련한 대법원 판결이 나왔기에 이를 소개합니다.


    사실관계

    1. 부산 소재  A집합건물 내 전체 구분건물인 46개 호실 중 5개 호실을 소유하고 있는 갑, 11개 호실을 소유하고 있는 을, 2개 호실을 소유하고 있는 병, 3명이 집합건물에 관한 관리단 임시총회의 소집을 요구함

    2. 이에 따라 2014. 12. 5. 임시 관리단집회인 임시총회가 개최되어 갑을 관리단 대표자로 선임하는 결의가 이루어짐

    3. 구분소유자 정(피고)전체 구분소유자 중 단지 3명만이 관리단 집회를 소집하여 대표자를 선임한 것은 무효라고 주장(제1주장), 또한 관리단 집회 소집을 위해 1주일 전 소집통보를 하였어야 하는데도 이를 통보한 것이 절차상 잘못이라고 주장(제2주장)

    4. 이 사건 원심은 정(피고)의 제1주장은 판단하지 아니한 채, 제2주장이 이유없다고 하면서 기각함. 이에 구분소유자 정 상고

    □ 판결의 요지
    [1]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집합건물법’이라 한다) 제33조 제4항은 “관리인이 없는 경우에는 구분소유자의 5분의 1 이상은 관리단집회를 소집할 수 있다. 이 정수는 규약으로 감경할 수 있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 ‘구분소유자’라고 정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위 규정에서 정한 임시 관리단집회를 소집할 수 있는 구분소유자의 수를 계산할 때에 한 사람이 그 집합건물 내에 수 개의 구분건물을 소유한 경우에는 이를 1인의 구분소유자로 보아야 한다.

    [2] 기록에 의하면, 이 사건 집합건물 내 전체 구분건물인 46개 호실 중 5개 호실을 소유하고 있는 소외 1, 11개 호실을 소유하고 있는 소외 2, 2개 호실을 소유하고 있는 소외 3 등 3명이 이 사건 집합건물에 관한 관리단 임시총회의 소집을 요구한 사실, 이에 따라 2014. 12. 5. 임시 관리단집회인 임시총회가 개최되어 소외 1을 원고의 대표자로 선임하는 결의가 이루어진 사실이 인정된다.


    [3] 피고는 원심에서 첫째, 집합건물법 제33조 제4항에 따르면 관리인이 없는 경우 구분소유자의 5분의 1 이상이 관리단집회를 소집할 수 있는데, 구분소유자의 5분의 1에 미달하는 구분소유자 3명만이 관리단집회를 소집하였고, 둘째, 집합건물법 제34조 제1항에 따라 관리단집회를 소집하려면 관리단집회 1주일 전에 회의의 목적사항을 구체적으로 밝혀 각 구분소유자에게 통지하여야 하는데, 원고는 관리단집회인 임시총회 2일 전인 2014. 12. 3.에 이르러서야 구분소유자 중 1인인 소외 4에게 소집통지를 하였으므로, 소외 1을 원고의 대표자로 선임한 2014. 12. 5.자 임시총회결의는 무효이고, 결국 이 사건 소는 대표권이 없는 자에 의하여 제기된 것으로서 부적법하다고 본안전항변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원심으로서는 앞에서 본 법리에 따라 이 사건 집합건물 내에 수 개의 구분건물을 소유한 사람을 1인의 구분소유자로 계산하여 위 구분소유자 3명이 2014. 12. 5.자 관리단 임시총회를 소집할 당시 이 사건 집합건물의 전체 구분소유자가 몇 명이었는지를 심리한 다음, 집합건물법 제33조 제4항이 임시 관리단집회의 소집 요건으로 규정하고 있는 ‘구분소유자의 5분의 1 이상이 소집할 것’이라는 요건을 충족하였는지 또는 이 사건 집합건물의 관리단 규약에서 위 규정이 정한 정족수 요건보다 감경된 정족수 요건을 규정하고 있다면 그 규약에서 정한 정족수 요건을 충족하였는지를 살펴 위 2014. 12. 5.자 임시총회가 적법하게 소집되었는지를 판단하였어야 할 것이다.


    [4] 그런데도 원심은 이에 관한 심리 및 판단을 누락하여 피고의 첫 번째 본안전항변에 대해서는 아무런 판단을 하지 아니한 채, 피고의 두 번째 본안전항변만을 배척하였다. 이러한 원심판단에는 임시 관리단집회의 소집 요건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피고의 첫 번째 본안전항변에 대한 판단을 누락함으로써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  평가

    즉, 대법원은 3명에 불과한 구분소유자가 소집을 통보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막연히 전체 구분소유자 수를 산정하지 않고, 단지 소유하고 있는 호실 수(결국 면적)가 많다는 이유로 전체 구분소유자 5분의 1이 넘었다고 판단한 것은 잘못이라는 취지입니다.

    대법원의 이러한 판결은,

    1. 구분소유자의 산정은 사람을 기준으로 하는 것으로서, 한 사람이 여러 구분소유 점포를 소유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이를 한명의 구분소유자로 본다는 것을 명확히 한 점,

    2. 집합건물법 제33조 제4항에 따른 관리단 집회 소집의 경우, 법문에 구분소유자만 명시되어 있을 뿐, 의결권(지분)에 대한 명시는 없어 과연 지분은 5분의 1 정족수 계산에 있어서 고려대상이 아닌지 여부가 항상 문제가 되었는데, 위 판결에서는 별도로 의결권을 따짐이 없다는 점에 있어서 의미가 있는 판결입니다.  

     

    - 기타 자세한 문의 -

    법무법인 라움

    서울 서초구 서초동 1573-14 웅진타워 16(교대역 9번 출구)

    Tel : 02. 3477. 7006 / Fax : 02. 3477. 012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