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로고

로고

로그인 회원가입
  • 소식/자료
  • 라움칼럼
  • 소식/자료

    라움칼럼

    [최준현 변호사] [노동전문변호사] 직장내괴롭힘 손해배상청구 성공사례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라움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172회   작성일Date 25-03-25 11:50

    본문

    cf99ec5a3a3470faa70d00b5d81779b2_1742870813_7631.png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든든한 조력자

    최준현 변호사입니다.

    오늘은 직장내괴롭힘

    노동, 형사, 민사의 성공사례를 소개합니다.


    cf99ec5a3a3470faa70d00b5d81779b2_1742870840_0318.jpg
     

    이번 사건에서 저는 근로자의 변호인으로 선임되었습니다.


    cf99ec5a3a3470faa70d00b5d81779b2_1742870850_9682.png
     

    의뢰인은 회사 내에서 직속 상사로부터

    지속적인 직장내괴롭힘을 당하였습니다.

    의뢰인은 직속 상사로부터 폭언 뿐 아니라 과도한 업무를 부여받았으며,

    그로 인해 지속적인 스트레스와 압박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상황에 의뢰인은 결국 퇴사를 심각하게 고려하게 되었고,

    법적 지원을 필요로 하여 저를 찾아오게 되었습니다.


    노동: 직장내괴롭힘 피해자로 인정


    의뢰인은 퇴사가 적절한 선택인지에 대해 상담을 요청하였습니다.

    이에 대해 저는 의뢰인에게 회사 측에서

    퇴사한 직원의 직장내괴롭힘 문제에 대해 신경을 쓰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설명드렸습니다.


    직장내괴롭힘에 대한 결과를 확인한 후에 퇴사를 고려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안내드렸습니다.

    또한 직장내괴롭힘에 대한 근거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은 상태였기 때문에,

    구체적인 증거를 수집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습니다.

    이메일, 메세지, 대화 등 증거를 수집할 것을 요청하였고,

    이러한 증거들이 향후 법적 절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설명드렸습니다.

    의뢰인은 직장내괴롭힘 신고를 진행한 후, 몇 개월 간의 조사를 걸쳐


    cf99ec5a3a3470faa70d00b5d81779b2_1742871122_7024.png


    직장내괴롭힘의 피해자로 인정 받았습니다.


    형사: 가해자 처벌


    이 과정에서 직장 내 괴롭힘의 내용 중 일부가 형사 처벌이 가능한 사안으로 판단되었습니다.

    의뢰인은 가해자가 형사적 책임을 물을 수 있도록 추가적으로 고소 절차를 진행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가해자의 행위가 중대한 범죄로 인정될 수 있음을 명확히 하였으며, 법적 근거를 마련했습니다.

    고소 절차가 진행되면서 사건은 경찰 및 검찰의 수사를 거쳤고,


    수사 결과

    직장 내 괴롭힘의 행위의 유형이 형법적용의 대상임이 입증되어

    d6ce68c63a162f18f8520d9d099e084c_1742871801_2046.png
     

    가해자는 형사 처벌을 받게 되었습니다.


    민사: 손해배상 청구금액 전부 인용


    이후 의뢰인은 민사상 손해배상청구를 요청하셨습니다.

    저는 이를 진행하기에 앞서 직장내괴롭힘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의 특성과

    관련 법적 절차에 대해 의뢰인에게 자세히 설명드렸습니다.

    특히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는 피해자의 과실 여부도 

    고려되므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습니다.

    이후 의뢰인과 함께 적정한 금액을 논의하여 산정하고, 사건을 진행하였습니다.


    d6ce68c63a162f18f8520d9d099e084c_1742872066_6243.png
     

    이를 통해 청구한 금액이 전부 인용되어 의뢰인은 직장내괴롭힘으로 인한

    합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d6ce68c63a162f18f8520d9d099e084c_1742872301_3307.jpg
     

    위 사례와 같이

    직장내괴롭힘 신고를 고려하신다면

    퇴사가 적절한 선택인지에 대한 신중한 고민을 하는것이 중요하고,

    사건의 결과를 긍정적으로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충분한 증거 수집이 필수입니다.


    ​직장내괴롭힘 상담 시 많은 의뢰인들이 가해자에 대한 분노로

    직장내괴롭힘을 인정받기 어려운 부분까지

    주장을 원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직장내괴롭힘 손해배상 청구 시, 과도한 금액을 청구하는 것이 피해액 인정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합니다.


    직장 내 괴롭힘을 인정받은 뒤 그에 대한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과정은

    상당히 긴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논점이 흐려지면 

    결과적으로 불리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