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합건물 관리단 관리인 대규모점포관리자 상가재건축] 집합건물 관리단의 대표자 관리인(2018. 11. 고려대 로스쿨 특강) …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십니까. 부종식 변호사입니다.
오늘은 집합건물 관리단의 대표자인 관리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러한 관리인에 대해 실무상 자주 혼동하시는 부분이, 이러한 관리인을 관리소장 정도로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그러나 이러한 관리인은 관리소장이 아니라 관리단 회장을 말하는 것으로서 관리단의 대표자가 됩니다.
집합건물, 즉 상가, 오피스텔, 오피스에서의 법률관계를 규율하는 법인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집합건물법)은 관리인의 선임에 대해 규정하고 있는데요, 구체적인 규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4조(관리인의 선임 등)
① 구분소유자가 10인 이상일 때에는 관리단을 대표하고 관리단의 사무를 집행할 관리인을 선임하여야 한다. <개정 2012. 12. 18.>
② 관리인은 구분소유자일 필요가 없으며, 그 임기는 2년의 범위에서 규약으로 정한다. <신설 2012. 12. 18.>
③ 관리인은 관리단집회의 결의로 선임되거나 해임된다. 다만, 규약으로 제26조의2에 따른 관리위원회의 결의로 선임되거나 해임되도록 정한 경우에는 그에 따른다. <개정 2012. 12. 18.>
④ 구분소유자의 승낙을 받아 전유부분을 점유하는 자는 제3항 본문에 따른 관리단집회에 참석하여 그 구분소유자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다. 다만, 구분소유자와 점유자가 달리 정하여 관리단에 통지하거나 구분소유자가 집회 이전에 직접 의결권을 행사할 것을 관리단에 통지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신설 2012. 12. 18.>
⑤ 관리인에게 부정한 행위나 그 밖에 그 직무를 수행하기에 적합하지 아니한 사정이 있을 때에는 각 구분소유자는 관리인의 해임을 법원에 청구할 수 있다. <개정 2012. 12. 18.>
제25조(관리인의 권한과 의무)
① 관리인은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할 권한과 의무를 가진다.
1. 공용부분의 보존ㆍ관리 및 변경을 위한 행위
2. 관리단의 사무 집행을 위한 분담금액과 비용을 각 구분소유자에게 청구ㆍ수령하는 행위 및 그 금원을 관리하는 행위
3. 관리단의 사업 시행과 관련하여 관리단을 대표하여 하는 재판상 또는 재판 외의 행위
4. 그 밖에 규약에 정하여진 행위
② 관리인의 대표권은 제한할 수 있다. 다만, 이로써 선의의 제3자에게 대항할 수 없다.
제26조(관리인의 보고의무 등)
① 관리인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매년 1회 이상 구분소유자에게 그 사무에 관한 보고를 하여야 한다. <개정 2012. 12. 18.>
② 이해관계인은 관리인에게 제1항에 따른 보고 자료의 열람을 청구하거나 자기 비용으로 등본의 교부를 청구할 수 있다. <신설 2012. 12. 18.>
③ 이 법 또는 규약에서 규정하지 아니한 관리인의 권리의무에 관하여는 「민법」의 위임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개정 2012. 12. 18.>
- 이전글[집합건물 상가재건축 관리단 관리인 대규모점포관리자] 상가재건축 설명회-부종식변호사 19.05.30
- 다음글[집합건물 관리단 관리인 대규모점포관리자 상가재건축] 집합건물 관리단 규약 (2018. 11. 고려대로스쿨 특강) - 부종식 변호사 19.05.3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