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준현 변호사] 기준미달 휴업수당신청(근로기준법 제46조 제2항)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노동변호사 최준현입니다.
오늘은 휴업수당과 부득이한 사유로 사업을 지속할 수 없는 경우 휴업수당 지급에 대한 근로기준법 제46조의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근로기준법 제46조 제1항은
'사용자의 귀책사유로 휴업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휴업기간 동안 그 근로자에게 평균임금의 100분의 70 이상의 수당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평균임금의 100분의 70에 해당하는 금액이 통상임금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통상임금을 휴업수당으로 지급할 수 있다.'
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즉, 근로자가 사용자의 귀책사유로 근로를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는 무노동무임금 원칙에 입각하여 임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평균임금의 70%를 지급하여야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사업을 더이상 지속할 수 없는 경우까지 휴업수당을 지급하여야 한다면 사용자에게 큰 부담일 것입니다.
이에 근로기준법 제46조 제2항은
제1항에도 불구하고 부득이한 사유로 사업을 계속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노동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경우에는 제1항의 기준에 못 미치는 휴업수당을 지급할 수 있다.
고 규정하여 부득이한 사유로 사업을 계속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우 노동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경우 평균임금의70%미만으로 휴업수당을 지급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근로자 전원의 동의를 받은 경우 휴업수당을 지급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기준미달의 휴업수당 지급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 영상에서 확인 부탁드립니다.
노동법 전문, 법무법인 라움 최준현 변호사
경 력
대구 성광고등학교
한양대학교 법과대학 우등졸업
동아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석사
고려대학교 법학박사 과정
前 법무법인 한중
前 고용노동부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원주지청 변호사
前 YK법률사무소 변호사
前 고용노동부 민사법 강의
前 강원지역 다수 학교 및 단체 대상 근로기준법 강의
現 업무상질병판정위원회 위원
現 서울 노동권리보호관
現 재단법인 서울특별시 사회서비스원 법률분야 위원
現 대법원 국선 변호인
現 법무법인 라움 파트너 변호사
관련링크
- 이전글[최준현 변호사] 근로자가 소속 직장의 대표자, 동료 등을 수사기관에 고소한 것이 징계사유인지 여부 24.01.29
- 다음글[최준현 변호사] 직장내 괴롭힘에 대하여(2) 24.01.2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