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로고

로고

로그인 회원가입
  • 소식/자료
  • 라움칼럼
  • 소식/자료

    라움칼럼

    [최준현 변호사] 산업안전보건법·업무상과실치사 성공사례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라움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152회   작성일Date 25-03-28 10:49

    본문

    a1dfe29420bfe9e852e777e8d34f67a6_1743126180_2897.png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든든한 조력자

    최준현 변호사입니다.


    오늘은 산업안전보건법·업무상과실치사 성공사례를 소개합니다.


    a1dfe29420bfe9e852e777e8d34f67a6_1743126321_6272.jpg
     

    이번 사건에서 저는 사업주측 대리인으로 선임되었습니다.


    a1dfe29420bfe9e852e777e8d34f67a6_1743126342_5518.jpg
     


    대부분의 산업안전보건법 위반에 따른 사망사고는 공사현장에서 발생하지만

    이번 사건은 회사 창고 앞에서 일어난 사고였습니다.

    다른 업체의 화물차주가 운반하던 중량물을 하역하는 작업 중에

    중량물이 갑자기 쓰러졌고 그 근처에서 작업하던 직원이 깔려 안타깝게 사망한 사건이었습니다.

    이에 사업주 뿐 아니라 담당직원도 피의자 신분으로 전환되었습니다.


    a1dfe29420bfe9e852e777e8d34f67a6_1743126398_5529.jpg
     


    사건 발생 후 이 사건의 쟁점은 사업주의 책임인지 화물차주의 책임인지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의뢰인 입장은 화물차 주의 부주의로 사고가 발생했다고 생각하며

    산업안전보건법의 구체적인 내용을 인지하지 못한 상황에서 당연한 억울함을 토로했습니다.

    저는 의뢰인에게 사건 관련 법을 차분히 설명하였습니다. 또한 사고가 발생한 정황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고, 유족과의 합의를 진행하여 향후 선처를 구할 수 있도록

    원만한 해결방향에 대해 조언을 드렸습니다.



    a1dfe29420bfe9e852e777e8d34f67a6_1743126462_8883.jpg



    만약 업무상과실치사죄만 적용된 상황이었다면

    사업주의 예견 가능성 등에 대해 심도있게 논의될 수 있는 사안이었으나

    이 사건의 핵심은 산업안전보건법상 중량물을 취급할 때에는

    사람들이 주변에 접근하지 않도록 해야 할 의무가 있는데 이를 위반한 점이결정적인 요소가 되었습니다.

    따라서 저는 의뢰인의 위험요인을 최대한 줄이면서 의뢰인의 귀책사유 중

    고려해야 할 점을 부각시키기로 결론을 내렸습니다.

    또한 합의를 적절한 선에서 신속하게 진행하고

    수사단계에서 사고발생상황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며,

    화물차주의 부주의와 하차 과정에서의 문제를 고려해 줄 것을 요청드렸습니다.


    a1dfe29420bfe9e852e777e8d34f67a6_1743126656_3255.png
     

     담당직원위와 같은 고려사항이 반영되어

    기소유예 처분을 받게 되었고 사업주만 재판을 받게 되었습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위반이 발생하는 경우 높은 처벌이 대부분이기에

    검사의 구형 또한 높을 것으로 예상하였습니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사업주1년 미만의 구형이 있었습니다.

    재판부는 검찰의 구형보다 낮은 형의 집행유예를 선고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의뢰인은 예상보다 낮은 형량에 만족하며 감사의 뜻을 전했습니다.



    a1dfe29420bfe9e852e777e8d34f67a6_1743126744_3653.jpg



    사망사고의 경우 죄를 인정하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점은

    적절한 시기에 적합한 양형 자료를 제출하는 것입니다.

    조금만 더 신경을 쓴다면, 죄를 인정한 경우에도

    더 낮은 구형과 낮은 형의 선고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선고가 날 때까지는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최대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점을 이번 사건이 잘 보여줍니다.


    a1dfe29420bfe9e852e777e8d34f67a6_1743126829_0067.jpg
     

    업무상과실치사 문제로 고민이시라면

    형사 · 노동 전문 변호사 최준현 변호사와 먼저 상담해보세요.

    같이 고민하고 최선의 방안을 찾아드리겠습니다.


    a1dfe29420bfe9e852e777e8d34f67a6_1743126855_418.png


    a1dfe29420bfe9e852e777e8d34f67a6_1743127030_5733.png
    a1dfe29420bfe9e852e777e8d34f67a6_1743127030_6029.png
    a1dfe29420bfe9e852e777e8d34f67a6_1743127030_624.png
    a1dfe29420bfe9e852e777e8d34f67a6_1743127030_6409.png
    a1dfe29420bfe9e852e777e8d34f67a6_1743127030_6563.png 

    최준현 변호사 유튜브(세최변TV)

    https://www.youtube.com/@world%EC%B5%9C%EB%B3%80TV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